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Patella , Scanography)

by chonyeonseang 2021. 7. 16.
반응형

**이해와 완벽 습득을 위한 정보이기보다는
문제풀이에 집중하기위한 정보들입니다.**

**일반촬영 공부는 가지고계신 전공 서적을 참고하고 직접 자세를 취해가며 읽으시면 이해와 암기가 더욱 빠릅니다
(단, 지금 올리는 정보들은 자세보다는 시험 문제풀이를 위한 정보에 집중합니다) **

중요한 부분은 ⭐ / ☆ 표시!



1. Patella PA

- 넙다리뼈에 중복되어 무릎뼈의 모서리와 뼈밀도가 선명하게 관찰되는지 확인.
☆ Knee AP와 비교하여 mAs는 2배정도 필요하고 관전압은 동일하게 하여 촬영.
- 무릎뼈의 중앙을 향해 수직 입사


2. Patella lateral

☆ 무릎뼈의 가로골절 확인.
무릎을 5~10' 정도 굽힌채로 True lateral positon취함.
Knee lateral과 비교하여 관전압을 4~6kvp정도 감소시킨 상태에서 촬영. (why? 무릎뼈의 과노출 방지)
- 무릎넙다리관절 공간이 열리고 medial / lateral condyle 의 겹침.


3. Settegast method

- Sun rise / Sky line / Patella tangential
별 무릎뼈의 세로골절 확인.
- prone position
- 넙다리뼈의 장축이 IR면과 평행하고 , 무릎뼈가 IR면에 수직이 되도록 함.
- 무릎뼈의 반측면상.
- 무릎뼈의 가로골절에 적용이 불가함.
- 무릎넙다리관절의 비정상 상태 관찰.


4. Hughston method

- IR면과 넙다리뼈의 장축이 평행하고 , 무릎과 IRdms 55' 를 이루게 함.
- 무릎넙다리관절을 향해 머리쪽으로 45' 입사.


5. Merchant bilateral method

- Supine position.
- 무릎을 구부려 45' 각도를 만들고 ,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용구를 사용한다.
- 수펴면에서 다리쪽으로 30' 각도가 되도록 한다.
- 무릎넙다리관절을 향해 다리쪽으로 60' 입사.



6. Beclere method (Intercondyloid fossa AP axial)

- 융기사이오목 , 융기사이융기 , 십자인대 기시부 박리골절 등.- 넙다리뼈 장축에 대하여 정강뼈가 40~45'가 되도록 무릎을 구부린 자세.- 머리쪽으로 무릎관절을 향해 정강뼈 장축에 수직입사.



7. Holmblad method (Intercondyloid fossa PA axial)

- 무릎을 꿇고 엎드린 자세- 겁사측 넙다리뼈가 IR면에 대해 70'가 되도록 함.- 융기사이오목을 향해 IR면에 수직 입사.


8. Camp-Coventry method (Intercondyloid fossa PA axial)

- Prone position.
- 무릎을 구부려 다리쪽으로 40~50'가 되도록 조절.
- 무릎각도가 40' 이면 중심선도 40' 입사 / 50'이면 중심선도 50' 입사.


여기서 잠깐!! Patella 와 Intercondyloid fossa 촬영구분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리)
< Patella >
- Settegast method
- Hughston method
- Merchant bilateral method

= S H M

< Intercondyloid fossa >
- Beclere method
- Holmblad method
- Camp-Coventry method

= B H C




9. Scanography

- 원거리 촬영.
- 상,하지 : 양측 촬영 , 수술 전후 평가 , 길이 계측 , 안굽이/밖굽이 평가 , 정렬상태 평가.
- 하지 : 선자세.




#국가고시 #국시
#일반촬영 #일촬
#xray #x-ray
#방사선 촬영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