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Knee)

by chonyeonseang 2021. 7. 15.
반응형


**이해와 완벽 습득을 위한 정보이기보다는
문제풀이에 집중하기위한 정보들입니다.**

**일반촬영 공부는 가지고계신 전공 서적을 참고하고 직접 자세를 취해가며 읽으시면 이해와 암기가 더욱 빠릅니다
(단, 지금 올리는 정보들은 자세보다는 시험 문제풀이를 위한 정보에 집중합니다) **

중요한 부분은 ⭐ / ☆ 표시!





**Knee 촬영은 중요한 부분 비교적 많더라구요! 참고해주세요~**


1. Knee AP

☆다리를 안쪽으로5' 돌린 True AP 자세
☆무릎뼈 꼭지 1cm아래 입사
☆머리쪽으로 각도를 5' 정도 주면 무릎 관절 공간 관찰 가능
- 안쪽,가쪽 관절공간이 대칭적으로 관찰
- 무릎관절사이가 분리 관찰


2. Knee standing weight bearing bilateral

☆erect position에서 양쪽 무릎관절의 관절공간,반달연골 소실,퇴행성 관절염,기형(안쪽/가쪽번짐)관찰
- 양쪽 무릎관절사이 중앙을 향해 IR면에 대하여 수평 입사
**관절염 환자의 경우 : supine position에서 관절공간 정상 관찰 / erect position에서는 관절공간 좁아져 관찰


3. Rosenberg method

☆변형성 관절염에의한 무릎관절통,meniscus소실,관절공간,불안정성 무릎질환 관찰
☆양쪽 무릎관절사이 중앙을 향해 발쪽10' 입사
☆IR면에 대해 넙다리뼈축은 25' / 다리뼈축은 20' 굽힘


4. Knee lateral

☆무릎을 20~30'구부린채로 무릎 안쪽,가쪽이 IR면에 수직 (why? : 관절주위 근육 이완시켜 관절안을 넓게 보기위함)
☆무릎뼈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는 10' 이내로 굽힘
☆머리쪽 5~7' 입사
☆넙다리의 medial/lateral condyle이 겹쳐져 관찰
☆정강뼈 먼쪽을 고정용구 이용하여 8'정도 올린 후 수직입사해도 됨


5. Knee Valgus / Varus

☆ Valgus (Eversion , 가쪽번짐 , 외반 , 벌림 , Abduction)
: 안쪽 곁인대(MCL) 손상 관찰

☆ Varus (Inversion , 안쪽번짐 , 내반 , 모음 , Adduction)
: 가쪽 곁인대(LCL) 손상 관찰

☆무릎을 20' 정도 굽힌 상태에서는 ACL / PCL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MCL / LCL 관찰이 용이하다.


6. Knee lateral stress (Anterior / posterior draw)

- 일반적으로 무릎관절을 IR중앙에 위치시킨 뒤 90' 구부림.
- Lachman stress method : 무릎관절을 10~15' 구부린 상태에서 stress줌.
☆앞쪽 끌어당기기(Pull) : ACL의 안정성,손상여부 확인.
☆뒤쪽 밀어내기 (Push) : PCL의 안정성,손상여부 확인.
☆Anterior draw : ACL - 무릎관절의 과신전 예방이 가능함.
☆Posterior draw : PCL - 무릎관절의 과굴곡 예방이 가능함.




#국가고시 #국시
#일반촬영 #일촬
#xray #x-ray
#방사선 촬영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