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Foot , calcaneus , Subtalar joint )

by chonyeonseang 2021. 6. 8.
반응형


**이해와 완벽 습득을 위한 정보이기보다는
문제풀이에 집중하기위한 정보들입니다.**

**일반촬영 공부는 가지고계신 전공 서적을 참고하고 직접 자세를 취해가며 읽으시면 이해와 암기가 더욱 빠릅니다
(단, 지금 올리는 정보들은 자세보다는 시험 문제풀이를 위한 정보에 집중합니다) **

중요한 부분은 ⭐ / ☆ 표시!






< Foot >

 



1. Foot AP
☆ 3rd metatarsal base를 향해 뒤꿈치방향으로 IR면에 대하여 10°로 입사함
☆ Heel effect적용


2. Foot AP medial oblique
- 발을 안쪽으로 회전 ( foot oblique의 경우 각도는 30° )
☆ sinus tarsi , cuboid와 주변 관절공간 관찰
☆ 목말뼈 - 발배뼈 관절공간 관찰
**40~45°돌리면 가로발바닥활 관찰


3. Foot AP lateral oblique
- 발을 가쪽으로 회전 ( foot oblique의 경우 각도는 30° )
☆ 1st , 2nd cuneiform과 주변 관절공간 관찰



4. Sesamoid lateroaxial (Causton법)
- sesamoid bone의 골절 확인
- IR중심에는 1st MP joint
- 입사방향은 1st MP joint를 향해 발뒤꿈치쪽 40°




5. Sesamoid tangential
☆Lewis법
- prone position
- 발가락이 발등쪽으로 가도록 굽힘
- 발바닥이 IR면에 대해 75°

☆Holly법
- supine position
- 발가락이 발등쪽으로 가도록 굽힘(끈 등으로 잡아당김)
- 발바닥이 IR면에 대해 75°
**Holly법의 경우 sesamoid bone이 IR면과 떨어져있으므로 확대가 발생하여 Lewis법에 비해 선예도가 떨어짐

*공통 : 2개의 sesamoid bone이 첫째 발허리뼈머리와 분리되어 관찰






6. Composite AP axial in weight-bearing position
- erect position에서 다리와 겹침없는 발 전체의 영상
☆ 발 앞쪽 : 셋째 발허리뼈 바닥향해 뒤쪽 15°입사
☆ 발 뒤쪽 : 앞쪽으로 25°입사
=> 2번촬영


7. Longitudinal arch lateral in weight-bearing position
☆longitudinal arch의 구조적 상태 관찰
☆평발 진단 or 평가





< Calcaneus >

⭐1. Calcaneus plantodorsal axial
☆ 가쪽복사 아래끝 높이로 발바닥 중앙향해 머리쪽40°입사 (**PA axial - 발바닥 -> 발등)
☆발꿈치뼈의 세로골절 관찰
☆sustentaculum process의 반측면상
☆talocalcaneal joint , tuberosity , trochlear process , medial / lateral process 관찰




< Subtalar joint >

1. Subtalar joint superoinferior oblique
☆ 앞,뒤쪽 목말발꿈치뼈관절의 변형성 질환
☆ true lateral position에서 발꿈치를 4cm들어올림
☆ 발목관절을 향해 앞5° , 발쪽23°입사
☆ subtalar joint가 열림
☆ sinus tarsi가 넓게 관찰



⭐2. Subtalar joint AP axial oblique (Broden법)
☆ 머리쪽 10° , 20° , 30° , 40° 입사
☆10° -> 목말밑관절면의 뒷부분 관찰
☆20°~30° -> 목말받침돌기 and 목말뼈 사이 관절 관찰
☆40° -> 목말밑관절면의 앞부분 관찰



#국가고시 #국시
#일반촬영 #일촬
#xray #x-ray
#방사선 촬영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