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사선사/방사선사 정보5

방사선사 국가고시 공부 방사선사 국가고시를 공부했던 입장으로 짧은 지식이지만 혹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싶어서 다시 공부도 할 겸 정리해보려합니다.. ☆모의고사를 풀이해가며 얻은 지식들이 정리된 노트를 기반으로 작성하는글입니다! 즉, '내가 보기 편하게 정리했었다' 는뜻이죠😁😁☆ 모두를 만족시킬수는 없겠지만 간단간단하게라도 보고싶은분들께 도움이되어보고자 정리 시작해봅니다! 이론위주로 정리하려합니다! 3교시 영상문제는 자료를 조금 더 얻은 후 올려볼까 계획중이에요~ 100%이해가 되도록 정리했다기보다는 국가고시 합격에 목적을 두고 정리했던 노트라는걸 유념해주시길바래요~ 2021. 6. 3.
방사선사 Q&A 2 방사선사에 대한 질문과 답변 2탄입니다~ 도움이 되실지는 모르겠지만 궁금했던점에 대해 조금이라도 풀수있게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네요! Q6. 3년제 방사선과(전문대)와 4년제 방사선과는 국가고시를 다르게 치나요? A. 똑같습니다! 3년제든 4년제든 국가고시는 똑같이 응시합니다. 즉, 3년제는 4년제 학생들보다 1년 먼저 국가고시에 응시하고 면허를 취득할수있죠. '그럼 무조건3년제가 좋은것아닌가?'하고 생각할수도있겠는데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히 답을 드리기 어려울것같아요... 빨리 임상에서 일하고싶은분들에게는 3년제가 유리할수도 있겠지만 좀 더 깊게 공부하기위해 대학원진학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기위함이다 하시는분들에게는 4년제가 유리할수도있죠.. (물론 3년제라고해서 대학원 진학의 기회가 없는건.. 2021. 6. 2.
방사선사 Q & A 방사선사에 관심을 가지고 준비하시는분들을 통해 들어본 질문들을 정리해서 답해볼까합니다! 단, 사전적인 정의를 알려드리기보다는 간단히,조금 더 쉽게 설명해볼까해요~ (물론...보시기에 많이 부족할수도...) Q1. 방사선사는 어떤 직업인가요? A. 방사선사란 의사의 진료활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방사선 장비 조작을 통해 진단 및 치료업무를 수행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X-ray , CT , MRI , 초음파 , 유방촬영등이 모두 방사선사 업무 범위입니다. 이게 끝이 아니죠~ C-arm BMD(골밀도 검사) 투시장치를 이용한 혈관 및 장기 조영술 확장술,삽입술,제거술 등 중재적 시술 PET/CT 또는 PET/MRI등을 이용한 핵의학적 검사 암치료를 위한 모의치료(CTsim) , 치료계획수립 및.. 2021. 6. 1.
방사선사 방사선사는 어떤 사람? 방사선사는 어떤 직업? 방사선사는 어떤 직업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진단 또는 정밀한 시술,비수술적 치료 등을 진행하기 위해 방사선 장비를 다루는 전문인력입니다. 의료계열에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죠! 작은 의원이든 , 큰 병원이든 보통 의사선생님과 면담을 진행후에 "사진찍고 오실까요?" "CT 찍어보고 봅시다" "MRI 찍어보고 봅시다" 같은 말을 듣곤하죠~ 그리고 사진을 찍기위해 방문한 곳에서 만나뵙는 선생님들! X-RAY와 CT , MRI등의 의료장비를 다루며 의사선생님들의 진단과 오더에 따라 환자를 고정시키고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여 결과를 담당 의사선생님들께 전달하는 업무를 수행하고계시는분들이 '방사선사'선생님들 이십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내용은 위와같지만 방사선사의 업무 범위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더 .. 2021. 5. 31.
방사선사 국가고시 2020년 기준 방사선 물리학 9문항 전기전자 9문항 의료영상 9문항 방사선 계측학 9문항 방사선 기기학 9문항 방사선 생물학 9문항 방사선 관리학 9문항 해부생리학 17문항 공중보건학 9문항 법규 20문항 영상 20문항 투시 6문항 혈관조영 6문항 초음파 10문항 CT 9문항 MRI 9문항 핵의학 15문항 치료학 15문항 영상 8문항 투시 5문항 혈관조영 5문항 초음파 5문항 CT 5문항 MRI 5문항 핵의학 7문항 치료학 7문항 QC 3문항 -------------- 1교시 : 총110문항 - 36개 이상 / 법규8개 이상 2교시 : 총90문항 - 36개 이상 (단, 1교시 2교시 총합 200문항 중 120개 이상) 3교시 : 총50문항 - 30개 이상 2021.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