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방사선사 정보

방사선사 Q&A 2

by chonyeonseang 2021. 6. 2.
반응형

방사선사에 대한 질문과 답변 2탄입니다~
도움이 되실지는 모르겠지만
궁금했던점에 대해 조금이라도 풀수있게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네요!


Q6. 3년제 방사선과(전문대)와 4년제 방사선과는 국가고시를 다르게 치나요?
A. 똑같습니다!
3년제든 4년제든 국가고시는 똑같이 응시합니다.
즉, 3년제는 4년제 학생들보다 1년 먼저 국가고시에 응시하고 면허를 취득할수있죠.

'그럼 무조건3년제가 좋은것아닌가?'하고 생각할수도있겠는데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정확히 답을 드리기 어려울것같아요...

빨리 임상에서 일하고싶은분들에게는 3년제가 유리할수도 있겠지만
좀 더 깊게 공부하기위해 대학원진학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기위함이다 하시는분들에게는 4년제가 유리할수도있죠..
(물론 3년제라고해서 대학원 진학의 기회가 없는건 절대 아닙니다!!)

임상에 진출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3년제 졸업자와 4년제 졸업자간 차이가 생긴다고하던데..
일단 저는 그런 차이는 잘 못느꼈던것같아요..
(☆정말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입니다!!!!)



Q7. 방사선사로 오래 일하면 피폭이 걱정할만큼 많나요?
A. 흔히 '방사선'이라고 하면 위험한것으로 떠오르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의료행위를 위해 사용되는 방사선의 경우 사람들이 생각하는것처럼 위험한 수준의 피폭을 주지 않습니다.

방사선사의 경우 이름처럼 '방사선'을 주로 다루는 직업입니다만,
'방사선을 맞아가면서 일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일반X-RAY촬영,CT촬영을 진행할때는
방사선사의 경우 방사선차폐가 가능한 납벽 및 납유리로 이루어진 방에서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게끔 한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합니다.
(MRI는 방사선촬영이 아니에요~)

혹, 수술방,C-arm시술등 불가피하게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방사선 차폐복이 따로 있기때문에
차폐복을 착용하고 방사선사 본인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선량측정기를 항상 착용하고 다니면서
주기적으로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법적으로 허용 가능한 피폭선량을 정해두고있기때문에
한도이상의 피폭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더이상의 피폭을 방지하기위한 조치를 취해주기도합니다.

일부러 방사선을 맞으러 다니지 않는 이상
문제 없습니다.



Q8. 일자리 전망은?
A. 방사선사의 고용은 증가할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입니다.

의학의 발달이 진행되면서 평균수명이 길어지고,건강을 챙기는 사람들이 많아짐에따라
보건의료에 대한 인식이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바뀌고있기때문에 검진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고,
그에따라 해당 업무에 종사하게될 방사선사의 고용이 함께 증가할것이라는 분석이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아무리 장비가 최첨단이되더라도
방사선사의 업무 전체를 커버할수없고,
오히려 더욱 정밀한 검사를 위해 방사선사의 존재는 거의 필수적이라도 봐도 될 것 같습니다.



Q9. 연봉은?
A. 병원마다 차이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근무하는 지역마다 또 차이가 있습니다.

그냥 평균을 말씀드리지않고
제가 생각하는 가장 현실적인 답변을 드리자면

방사선사들 사이에서도 대구나 대전은 급여가 비교적 낮은것으로 통하더라구요..
대구에서 근무하던 지인들의 경우
2019년~2020년 기준 신졸일때는 의원급에서 2800~3000만원 정도의 수준이었습니다.
(신졸기준 3200만원까지 받고 일하시는 지인도 계셨어요)

*당직수당 또는 각종 인센티브를 제외한 기본급입니다




Q10. 직업만족도는?
A. 백점기준 66%정도입니다.
(대략적인 수치라고 알아주시면 좋겠어요~)



Q&A 2번째까지 적어보았는데요
이번에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