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방사선사 정보

방사선사 Q & A

by chonyeonseang 2021. 6. 1.
반응형


방사선사에 관심을 가지고 준비하시는분들을 통해 들어본 질문들을 정리해서 답해볼까합니다!

단, 사전적인 정의를 알려드리기보다는
간단히,조금 더 쉽게 설명해볼까해요~
(물론...보시기에 많이 부족할수도...)




Q1. 방사선사는 어떤 직업인가요?
A. 방사선사란 의사의 진료활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방사선 장비 조작을 통해 진단 및 치료업무를 수행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X-ray , CT , MRI , 초음파 , 유방촬영등이 모두 방사선사 업무 범위입니다.

이게 끝이 아니죠~
C-arm
BMD(골밀도 검사)
투시장치를 이용한 혈관 및 장기 조영술
확장술,삽입술,제거술 등 중재적 시술
PET/CT 또는 PET/MRI등을 이용한 핵의학적 검사
암치료를 위한 모의치료(CTsim) , 치료계획수립 및 치료
등등...
위와같은 업무도 수행하는게 방사선사입니다!




Q2. 방사선사가 되는 방법?
A. 보건복지부장관을 통해 발급받는 방사선사 국가 면허를 취득해야합니다.

방사선사 국가면허 취득을 위해 국가고시에 응시해야합니다.
단, 그냥 응시할수있는게 아니라 조건이 있어요!

간단하게만 설명드리면
방사선(학)과로 진학하셔야 교육과정을 거친 뒤 국가고시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학점은행제와 같은 제도도 마련되어있다고하니
관심있으신분들은 좀 더 자세히 알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Q3. 국가고시 합격률은?
A. 매년마다 다르긴 합니다만, 보통 68~71%정도입니다!
비교적 높은 합격률을 띄고있죠~





Q4. 방사선과를 가려면 어떤 공부를 잘 해야 하나요?
A. 방사선과에서 배우게 될 과목들을 조금 나열해보자면
- 해부학 및 생리학 & 의학용어
- 물리학(방사선 물리)
- 생물학(방사선 생물)
- 병리학
- 원자력 이론
- 전기전자
등의 기초 이론을 배우고

- 초음파 영상학
- 방사선 치료학
- 핵의학
- MRI
- CT
- 진료영상학
- 투시조영학
- 혈관조영학
- 치과방사선학
- 보건의료법규
- 방사선 관리학
- 공중보건학
- 디지털영상학
등등..

 



쭉 보시면 알겠지만
자연과학계열이기때문에
기본적인 수학,물리,생물 과목쪽으로 지식이있다면 좋겠죠?

그리고 배우게 될 과목을 보면 방사선사에게 필요한 업무수행능력이
단순히 '방사선 촬영'이 아니라는걸 알수있습니다.
환자 또는 다른 의료진들과의 원활한 소통능력도 요구되며,첨단기기를 다뤄야 하므로 기계조작에 능숙해야 할 필요도 있죠~

물론 너무 걱정할필요는 없어요!
방사선과 전공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할때
남들도 똑같이 해당 학문에대해서는 하나도 모르기때문에
'모두 나와 같은 시작점'이라고 생각하고,
놓치지않고 열심히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해주신다면
뒤쳐지지않고 좋은 결과 거둘수있을거에요!




Q5. 방사선사는 의료인인가요?
A. 방사선사는 '의료기사'입니다.

의료인은
- 의사
- 한의사
- 치과의사
- 간호사
- 조산사
이고

의료기사는
- 방사선사
- 물리치료사
- 치과위생사
- 임상병리사
- 치과기공사
- 작업치료사
등이 있습니다.

의료기사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 아래 진료나 의화학적 검사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말해요!

방사선사는 의료기사입니다!





총5가지 질문에 대해 답해봤는데요
다음번에 또 다른 질문들을 가지고 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