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학의 경우 분량이 매우 많고,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매우 많아 암기할부분이 많습니다.
치료학과 핵의학의 문제 비율이 높기때문에 두 과목을 버리면 힘들어집니다.
꼭 문제를 많이 풀어가면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문제들을 확인하시고 기출빈도가 높은 문제의 경우 체크해두기가
필수입니다.
더불어 오답노트 꼭 진행하시면서 눈에 익는 문제들을 많이 만들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해당 포스팅의 내용들도 국가고시를 준비하면서 직접 풀어본 문제와 기출빈도가 높다고 생각한부분들 , 오답노트를 진행하며 얻은 정보들을 정리해둔 내용입니다.
해당 내용에대한 해설과 이해보다는 암기에 집중합니다.
치료학은 Part 1 ~ Part 3 or 4 까지 생각중입니다.
< 1 >
- 악성종양
① 발육이 빠르고 계속적임
② 피막이 없음
③ 침윤성 발육
④ 분화도가 미숙함
⑤ 혈관 침범이 있고, 전이됨
⑥ 이형성이 많고 , 정상조직의 파괴가 큼
⑦ 생명에 치명적
⑧ 수술로 제거해도 종종 재발함
- TNM
① 외과적 수술소견은 X
② 의사의 치료계획작성에 도움
③ 예후에 대한 시사
④ 치료결과를 공동으로 평가 가능
⑤ 치료시설의 정보교환이 쉬움
⑥ 암치료에 대한 장해연구에 도움
- 간접작용은 저LET와 관련있음
- 직접작용은 고LET와 관련있음
- 2DRT : 고식적 치료
- 3DRT : 근치적 치료
- 4DRT : 폐암 , 간암 등 + 적외선
: 조사야 줄여서 정상조직 장해 줄이는것 가능.즉,치료용적 줄이기 가능 / Slice갯수 많아서 피폭선량↑ / 30~70%호흡시
- 온열요법 : 42'C , S기 (( 치료학적인 측면에서 S기에서 감수성이 높음 ))
< 2 >
- 수술중 방사선 치료
① 주로 표재성이므로 전자선 치료
② IORT
③ Cone 사용
④ PDD 사용
- 치료가능비(TR) = 정상조직 내용선량/악성종양 치사선량
- MLC가 차폐Block보다 반음영이 크다
- Build up : Dmax지점
- WA = 1/2(180-HA)
- 50%조사야와 90%조사야 비교 : 50%조사야는 임상에서 많이 사용 , 경계부 선량 균등,조사야 내 선량분포 불균등
- 등선량분포곡선 : 각 지점의 흡수선량을 10%간격으로 그림
- MU : 기계적 셋업단위 (투과시 감약을 고려한)
< 3 >
근치적 조사 고식적 조사
① 완치 통증완화
② 크기작고,감수성 클때 완치불가판정
③ 조사야 작음 조사야 큼
④ 대선량 소선량
⑤ 고도의 기술 필요 비교적 간단한 기술
⑥ 정상조직 회복가능시 허용 허용하지않음 (정상조직 장해)
- PDD가 증가하면
① 에너지 ↑
② 조사야 ↑
③ 조사야가 부정형일 경우
④ SSD 증가 (연선 감소,경선 증가)
⑤ 환자의 깊이 감소한 경우
⑥ 필터두께 , Z ↑
- 접선2문조사 : 유방암(Half beam사용)
- 3문조사 : 대표적으로 직장암
- 4문조사 : 자궁암 , 췌장암 등
< 4 >
- 진자조사법
① 360'이하
② 최대선량중심과 종양중심 일치
③ 종양중심과 회전중심 불일치
④ 체표가까운쪽 or 흉벽치료
- 회전조사법
① 피부선량 최소
② 종양선량 최대
③ 최대선량중심 = 종양중심 = 회전중심
- GTV : 육안적 용적 , 총종양 용적
- CTV : 현미경적 , 임상적
- PTV : 치료계획 표면용적 , 움직임 고려 , 여러 오차범위 고려
- ITV : 호흡 , 내부표적용적(생리학적 움직임)
- IV : 조사용적 , 20%등선량
- 조사야 대칭도 측정 : 80%영역에서
'방사선사 > 국가고시(2교시) - 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치료학 Part 3. (0) | 2021.09.07 |
---|---|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치료학 Part 2.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