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사/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

방사선사 국가고시(2교시) - 일반촬영(C / T / L - Spine)

by chonyeonseang 2021. 7. 29.
반응형

**이해와 완벽 습득을 위한 정보이기보다는
문제풀이에 집중하기위한 정보들입니다.**

**일반촬영 공부는 가지고계신 전공 서적을 참고하고 직접 자세를 취해가며 읽으시면 이해와 암기가 더욱 빠릅니다
(단, 지금 올리는 정보들은 자세보다는 시험 문제풀이를 위한 정보에 집중합니다) **

중요한 부분은 ⭐ / ☆ 표시!


1. C-spine AP

- IR중심은 C3.
- 교합평면과 꼭지돌기 끝을 연결한 선이 IR에 수직이어야 함.
- C4를 향해 머리쪽으로 15~20' 입사.
- Intervertebral disk space가 열려서 관찰됨.
- 추체는 좌우대칭.
- 가시돌기는 정중선상에 위치.
- Pedicle이 관찰.




2. C-spine AP oblique

- 추간공,추궁근,돌기관절의 병변 관찰.
- AP,촬영 반대측 어깨를 IR면에 밀착하고 뒤쪽으로 45'돌림 (비만일 경우 55'정도)
- C4를 향해 머리쪽으로 15' 입사함.
- IR면에서 먼쪽 추간공 관찰.
- 목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자연체위 촬영이 바람직함.

**PA oblique ( RAO / LAO position) : IR면에서 먼쪽 추간공 관찰 , IR중심이 C5**




3. C-spine lateral

- C4가 IR중심.
- True lateral position에서 턱을 약간 들어 c-spine과 겹침을 방지하고 , 어깨를 최대한 떨어뜨린다.
☆ 호기 후 멈춘 상태에서 조사함.
☆ 원거리촬영 why?)확대방지 / 선명한 영상.
☆ C1과2가 겹치지않고 intervertebral disk space와 C7 가시돌기 관찰.
☆ Grandy method : C7이 보이도록 양팔을 동시에 잡아당기거나 모래주머니를 들고 서서 촬영하는 방법.




4. C-spine flexion / extension

☆ 목뼈의 기능 관찰(불안정성에 의한 척추체의 미끄러짐,추간강의 압축,벌어짐,탈구,운동이상 등)
- 원거리촬영.
- 양 어깨를 내리고 C1~C7 가시돌기를 관찰.





5. Ottonello method ( C-spine AP wagging jaw )

☆ 저작운동 중 조사하여 아래턱뼈의 흐려진 음영을 통하여 전체 경추AP상을 획득.
☆ IR중심은 C4
☆ C4를 향해 수직으로 입사.
☆ 흐려진 아래턱뼈 음영을 통하여 C1(Axis) , C2(Atlas)의 AP상을 획득.



6. Open mouth view ( den's view / Atlas,Axis AP open mouth )

- 턱을 들어 위쪽 앞니와 꼭지돌기를 연결한 선이 IR에 수직.
- C1 , C2 , 치아돌기 , 고리중쇠관절이 관찰됨.
☆ Open mouth시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1. Fuch method : Supine position (OML이 IR과 수직일때 머리쪽으로 37' 입사)
2. Judd method : Prone position (OML - IR이 37'일때 수직입사)



7. Twining , Pawlow , Swimmer's method

- IR면에 밀착된 팔을 위로,반대팔은 아래로 떨어뜨린 자세.
- T2를 향해 수평입사 (단, 양쪽 어깨가 분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리쪽으로 5'의 각도를 주고 입사한다)
- C7 , T1 , T2가 잘 관찰됨. (단, C5~T5 까지 영상에 포함되어야 함)
- 원거리촬영
- Pawlow method는 옆으로 누운 자세임.



8. T-spine AP

- Erect or Supine position.
- IR중심은 T7.
- MSP의 중심과 IR중심을 일치시킴.
- 호기 후 멈춘상태에서 조사.
- T7을 향해 IR면에 수직으로 입사한다.
*T7의 대략적 위치 -> 복장뼈위패임 아래 약8~10cm 지점*
- 위쪽가슴과 아래쪽 가슴의 두께차이 극복을 위해 : 쐐기형 보상필터 , Heel effect.
- Cobb angle : 척추 측만증 환자에서 만곡도를 계측.



9. T-spine lateral

- 추간공,추간강등 관찰
- Erect or Lateral ducubitus position.
☆ 자연호흡법으로 등뼈와 중복되는 폐혈관,늑골의 음영을 흐리게 함.



10. T-spine oblique

- 등뼈의 돌기사이관절등의 병변을 관찰함.
- RPO/LPO에서 먼쪽 돌기사이관절이 잘 관찰됨.
- RAO/LAO에서 가까운쪽 돌기사이관절이 잘 관찰됨.
- 양쪽 Oblique 촬영이 기본.




11. L-spine AP

- Erect or Supine , Prone position.
- IR중심은 L3.
- AP자세에서 IR면에 등을 밀착시키고 전만을 감소시기키 위해 무릎을 구부린다.
- L3위치는 대략 iliac crest. -> L3를 향해 IR면에 수직입사.
- PA촬영의 경우 허리뼈 전체를 상세히 관찰 가능하다.




12. L-spine lateral

- 추간공,추간강 관찰.
- 정중시상면과 척추의 장축이 평행(통증이 있는 부위를 IR면에 밀착시킨다)
- L3를 향해 수직입사 or 고정용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다리쪽으로 5~8'정도 입사한다.
- 호기 후 멈춘상태에서 조사.



⭐13. L-spine oblique

☆ 허리뼈의 돌기사이관절 병변 관찰.
☆ Semi supine or Semi prone , Erect position.
☆ RPO , LPO : IR면에서 가까운쪽 돌기사이관절 관찰.
☆ RAO , LAO : IR면에서 먼쪽 돌기사이관절 관찰.
☆ Scotty dog sign 중요중요중요




#국가고시 #국시
#일반촬영 #일촬
#xray #x-ray
#방사선 촬영
😁😁😁

반응형

댓글